자카르타 프리미엄 소비재전과 연계한 인도네시아 마켓 테스트 쇼케이스 개최기 > 코트라 시장정보

본문 바로가기

자카르타 프리미엄 소비재전과 연계한 인도네시아 마켓 테스트 쇼케이스 개최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댓글 0건 조회 236회 작성일 25-09-24 14:13

본문

우수한 우리 K-소비재에 대해 인도네시아 시장은 아직도 관심 높아

다양한 인증 등 어려운 점도 많은 시장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진출을 해야 하는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는 아세안 국가 중 최대 규모이자 세계 4위(약 2억8000만 명)의 인구를 보유한 나라로 한류의 영향에 힘입어 K-뷰티, K-푸드, K-드라마, K-POP 등 한국 문화와 제품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은 국가 중 하나 이다. 이러한 한국의 인기는 화장품 수입(2024년 약 1억2000만 달러, 전년 대비 74% 증가)과 식품 수입(2024년 약 1억9000만 달러, 최근 3년간 비슷한 수준 유지)의 증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2023년 인도네시아의 한 기관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여행하고 싶은 나라 1위로 한국이 꼽힐 정도로 현지에서 한국 문화와 제품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인도네시아로 수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인도네시아 식약청(BPOM) 인증을 획득해야 하며 제품의 인증을 획득한 인도네시아 수입 기업에게는 자동으로 수입 독점권이 부여된다(식품 및 음료는 제외). 더불어 할랄 인증 의무화와 2023년 9월에 100달러 미만 제품의 CBT(해외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한 소비자 직접 구매) 수입이 금지되는 등 다양한 비관세 장벽이 존재한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인도네시아는 기회의 땅이면서도 우리 기업에게는 결코 쉽지 않은 시장으로 평가되고 있다.


도전적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매력적인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서 한국무역협회와 코엑스가 자카르타에서 개최한 Jakarta Intenational Premium Product Fair (JI Premium)에는 약 350개사가 전시 업체로 참가하고 현지 참관객이 약 1만 명 가까이 오는 등 한국 소비재와 문화에 대한 관심은 지속되고 있는 것을 현장에서 볼 수 있었다.


<JI Premium 전시회 개요>

2108013650_1758696646.621.png

[자료: KOTRA 자카르타무역관 종합]


<JI Premium 전시회 현장>
2108013650_1758696662.86.png

[자료: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KOTRA가 주관 인도네시아 소비재 마켓 테스트 쇼케이스 개요


KOTRA 는 2025년 JI Premium 에 코엑스와 협업을 통해 K-Trend Products Showcase 라는 전시관을 운영했다. 이번 쇼케이스는 총 93개사 참가를 했으며 인도네시아로 진출을 희망하는 유망 중소기업 90개사와 KOTRA 서비스를 이용해 인도네시아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3개사가 참가해 인도네시아 바이어에게 K-Trend 를 주도하는 제품들을 선보였다.


<K-Trend Products Showcase 전시관>

2108013650_1758696737.2857.png

   [자료: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은 기업이 직접 현장에 출장을 오지 않고도 제품을 마케팅 할 수 있도록 대리 상담 지원, 바이어 반응 조사, 잠재 소비자 반응 조사 등을 진행해 기업들이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하기 전에 시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수의 인도네시아 공공 기관의 인증(식약청, 할랄 등)이 있어야만 수입이 가능하며 인증을 획득하기 위한 시간과 비용이 발생한다는 점을 감안해 바이어는 검증이 된 제품을 중심으로 우선 수입을 희망하기 때문에 이번 쇼케이스를 통해서 바이어에게는 인도네시아 잠재 소비자의 반응을 미리 제공해 시장에 수요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자 했다.


이번 쇼케이스에는 약 330건의 바이어 및 소비자의 의견이 접수됐으며 이런 내용은 참가 기업과 바이어에게 유용한 정보로 활용 될 것으로 예상된다.


쇼케이스 관련 주요 바이어 및 국내 기업의 반응


쇼케이스에 참가한 바이어 A 사 담당자는 "스타트업 단계의 소비재 기업의 제품은 검증이 되지 않아서 잘 검토를 하지 않는데 이렇게 샘플을 직접 보니 제품의 품질을 바로 볼 수 있어서 더 관심을 가지게 됐다. 이런 샘플 쇼케이스가 지속 개최된 다면 더 많은 새로운 브랜드 발굴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관계자에게 전달했다.


상담회에 참가한 국내 기업 B 사 대표에 따르면 "저희는 이번에 새로운 브랜드를 출시하고 수출에 도전을 해보고자 이번 쇼케이스에 참가를 하게 됐습니다. 아직 해외 수출 실적이 없는데 이렇게 저희 제품이 전시되고 현장에서 바이어 및 소비자의 의견을 종합해서 제공한다고 하니 앞으로 제품 개발 및 해외 마케팅 전략 수립에 좋은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KOTRA 담당자에게 전달했다.


마지막으로 현지 대형 수입사 담당자는 ‘한국 제품은 디자인과 품질 측면에서는 매우 훌륭하다고 생각한다. 다만, 인도네시아의 구매력 수준을 감안하면 제품의 가격이 항상 마케팅을 하는데 제일 큰 어려움이다’라고 이야기 했다. "제품의 용량을 줄이거나 하는 등 단가를 인도네시아 시장에 적합한 수준으로 맞추는 것이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도 전달했다.


시사점


인도네시아의 거리와 쇼핑몰에서는 한국 식당, 제품, 브랜드, 음악 등 우리 문화와 상품을 손쉽게 접할 수 있으며, 이는 현지에서 K-컬처에 대한 선호가 높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아세안 최대 규모의 인구와 젊은 소비층, 빠르게 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시장을 고려하면 우리 소비재 기업에게 인도네시아는 매우 매력적인 시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 정부가 최근 추진하는 자국 산업 보호 정책과 까다로운 인증 제도는 우리 기업뿐만 아니라 모든 해외 기업에게 진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적인 장벽에도 불구하고 기회가 있는 시장으로 우리 기업도 한국에서 제조해 인도네시아로 수출을 하는 방식 이외에 현지 파트너 발굴 후 현지 생산을 하는 등 현지화 전략을 병행해 비관세 장벽 대응, 현지 시장에 적합한 가격 정책 도입, 현지 젊은 소비자가 선호하는 온라인 구매 방식(TikTok Shop, Shopee 등) 적극 활용 등 현지인의 관점에서 마케팅을 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인도네시아는 급격한 성장은 아니지만 꾸준한 성장이 예상 되고 있는 시장으로 우리 기업도 5~10년을 내다보는 장기적인 관점으로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을 진행한다면 충분히 매력적인 시장일 것이라고 판단된다.



자료: 관세청 인도네시아 수출 통계('24년도),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코트라 시장정보

Total 247건 1 페이지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0006 01-23
공지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6852 01-14
245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46 09-29
244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76 09-29
243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40 09-29
242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38 09-29
241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40 09-29
240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40 09-29
열람중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237 09-24
238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289 09-18
237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311 09-18
236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325 09-16
235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389 09-10
234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359 09-10
233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404 09-10
232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401 09-10
231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666 09-04
230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417 09-03
229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413 09-03
228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456 09-03

검색


경상북도 자카르타 사무소
Artha Graha Building 6th Floor Suite 8, SCBD Jl.Jend.Sudirman Kav.52-53 Jakarta Selatan 12190 INDONESIA
Tel : +62 21 5140 1591
e-mail : Gyeongbukjkt@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