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피트니스 문화 성장에 따른 액티브 라이프 스타일 시장이 뜬다 > 코트라 시장정보

본문 바로가기

인도네시아, 피트니스 문화 성장에 따른 액티브 라이프 스타일 시장이 뜬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댓글 0건 조회 30회 작성일 25-09-10 11:31

본문

인도네시아 라이프 스타일 변화와 함께 액티브 라이프 스타일 시장 관심 증가


성장하는 인도네시아 스포츠와 피트니스 산업


인도네시아의 성장하는 피트니스 문화는 사람들의 운동 방식과 소비 패턴을 동시에 변화시키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과거 튀긴 간식으로 가득했던 '차 없는 일요일(차도 차량 진입을 막고 산책과 노점상 판매가 가능케 인도로 변경)'이 이제는 조깅을 즐기는 사람들과 사이클리스트로 북적인다. 심지어 줌바 같은 지역 기반 피트니스 수업까지 생겨났다. 그러나 현재 인도네시아에서 잠재적 투자 기회로 부상하는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헬스장, 패들, 필라테스 등이다. 


헬스장의 경우 Fit Hub, FTL, Anytime Fiteness 같은 체인점들이 전국적으로 급속히 확장 중이다. Fit Hub 는 현재 25개 도시에서 100개 이상의 지점을 운영중이다. 최근 패들 열풍은 급속한 성장과 강력한 시장 잠재력을 보여준다. 인도네시아 패들 협회가 불과 2년 전에 도입한 패들 경기장의 수요가 공급량을 훨씬 뛰어 넘고 있음은 이를 잘 보여준다. 자카르타에서는 거의 매주 새로운 패들 경기장이 문을 열고 있다. 2026년 말까지 45개 신규 코드 개설이 예정이다. 반면 필라테스는 2024년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로 선정됐으며 전년 대비 예약률이 84% 급증했다.


이러한 활동은 단순한 피트니스 차원을 넘어 라이프스타일, 커뮤니티, 정체성까지 아우른다. 코로나 19 팬데믹 기간 자전거 타기와 달리기에 대한 관심이 확산하며 열성 커뮤니티가 형성된 것이 출발점이었다. 이제는 더 넓은 피트니스 문화로 확장됐다. 오늘날 스포츠 참여는 사회적 소속감과 패션에 대한 표현까지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커뮤니티가 그룹 클래스와 이벤트를 계속 조직하는 동시에 소셜 미디어를 통해 독점성을 홍보함에 따라 엑티브웨어는 더 이상 기능적 차원을 넘어 피트니스 애호가들의 스타일 선언이자 정체성 형성 수단으로 진화했다. 조화롭고 트렌드를 반영한 의상은 개인 브랜딩의 수단으로 활용되며 스포츠의 패션적 측면을 결정적 요소로 자리매김한다. 이제는 단순히 스포츠에서 어떻게 수행하는지가 아니라 어떻게 보이는지가 중요해졌다.


2024년 스포츠 발전 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인구의 53.1%(약 1억920만 명)가 피트니스 관련 지출을 한다. 같은 해 스포츠 관련 제품에 대한 연간 지출액은 약 39조5000억 루피아(약 25억5000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전년 대비 5.8% 증가한 수치로, 국가 GDP의 0.2%를 차지한다. 수라바야 최대 규모 쇼핑몰 중 하나인 Pakuwon Mall 의 영업 이사 Hendi Santoso는 코트라 수라바야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코로나 이후 스포츠 웨어 및 관련 매출은 계속 증가세를 보이며 이는 대중의 엑티브 라이프에 대한 관심의 증거라고 밝혔다. 스포츠 운동화와 스포츠 웨어가 각각 41.8%, 28.6%로 인도네시아 스포츠 산업의 상위 두 기여 요소 보고서와도 부합한다.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가 웰니스와 패션이 조화를 이루는 라이프스타일 운동으로 스포츠를 재구성함에 따라 이 산업은 장기 투자에 매력적인 분야로 부상한다.


인도네시아의 도시화, 라이프스타일 제품 지출 증가


1960년대 이후 인도네시아의 도시화는 농촌에서 도시로 이주하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지속적으로 확대됐다. 현재 인도네시아 인구의 절반이 도시 지역에 거주한다. 이는 국가 경제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난 20년간 인도네시아 빈곤율은 50% 감소했으며 자카르타, 수라바야, 반둥, 메단 등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도시 인구는 2030년까지 2억8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시 인구 증가는 인터넷 및 미디어 사용 증가의 더 큰 동력을 의미한다. 2023년 기준 총 2억5백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한 인도네시아는 중국, 인도, 미국에 이어 세계 4위를 기록했다. 이는 사람들이 연결되는 방식뿐만 아니라 트렌드를 발견하고 구매를 결정하는 방식에도 변화를 불러왔다.


급속한 디지털 노출은 중산층의 부상과 함께 소비자 기대를 지속적으로 변화시킨다. 가처분 소득 증가로 이 계층은 라이프스타일 제품에 더 많은 지출을 한다. 2030년까지 인구가 1억 4,100만 명에 달하고 연간 가구 소비 지출이 2조5000억 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소비자 선호도는 프리미엄 제품과 체험형 구매로 이동한다. 이 변혁의 촉매제 역할을 하는 전자상거래는 이미 거래의 73%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이뤄진다. 이러한 현상은 라이프스타일 지출을 더욱 접근성이 좋고 가시적이며 트렌드 주도적으로 만든다. 


이는 스포츠웨어 산업에 완벽한 기회를 제공한다. 체험형 소비는 스포츠 클래스와 커뮤티니의 인기 증가로 나타나지만 스포츠웨어는 프리미엄 제품 수요를 포착한다. 기능성에만 국한되지 않기 때문에 스포츠웨어는 이제 패션, 정체성, 사회적 소속감을 표현하는 수단이 됐다. 이러한 제품에 대한 접근성도 그 어느 때보다 쉬워졌다. 소셜 미디어 노출과 온라인 쇼핑의 편리함이 결합해 인도네시아 라이프스타일 산업시장을 더욱 유망하게 만들고 있다.


<인도네시아 스포츠웨어 산업 시장 규모>

2107982753_1757476874.8187.png

[자료: Statista]


<인도네시아 스포츠웨어 주요 수입국가 (HS 코드 기준 : 6112, 6211, 6114)>

(단위: US$ 백만)

2107982753_1757476929.0992.png

[자료: UN Comtrade]


인도네시아 스포츠웨어 매출에서 스포츠 기반 의류 및 기능성 의류는 남녀 모두 2020년에 코르나 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소폭 하락했다. 그러나 그 이후로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향후 몇 년간 계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HS 코드 6112, 6211, 6114(스포츠웨어에 일반적으로 사용됨)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인도네시아로의 수입량은 약 46.3% 증가했다. 중국, 베트남, 터키가 2022년과 2023년 모두 상위 3대 수출국으로 남아 있는 가운데, 모로코, 미국, 싱가포르가 상위 5개국을 차지했으며, 한국은 15위에서 30위 사이를 기록했다.


현재 중국과 베트남이 인도네시아 스포츠웨어 시장을 주도한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섬유와 의류 생산국 중 하나이며 중국 스포츠웨어의 제조 기업의 장점으로는 낮은 인건비와 풍부한 노동력, 정부의 지원 및 정책 등이 있다.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국제적 생산 기지로 부상한 베트남 역시 경쟁력 있는 인건비로 주목받고 있지만 더 중요한 것은 여러 국가 및 지역과 체결한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한 특혜무역협정(PTA)이다. 반면에 인도네시아 제조업체들은 현재 국제 브랜드와의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도네시아 소비자들은 현지 브랜드보다 국제 브랜드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인기를 얻고 있는 한국 패션 산업(K-패션)의 부상은 스포츠웨어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K-패션 산업은 지속 가능성으로 전환된다. 소비자들의 구매 결정이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친환경적이고 책임감 있는 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많은 한국 브랜드들이 재활용 소재 사용, 폐기물 감소, 친환경 제조공정도입 등 지속 가능한 산업을 도입한다.


K-팝 역시 한국과 전 세계 패션 트랜드의 주요 동력으로 꼽힌다. 팬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스타일을 따라한다. 소셜 미디어가 최신 트렌드와 디자인을 홍보하고 선보이는 플랫폼으로 활용되면서 K-패션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현재 활기찬 한국의 패션 산업은 국제 시장 진출의 문을 열어두고 있다. 많은 전문가는 지속적인 성장과 글로벌 확장을 예측한다. 전통과 현대 스타일이 독특하게 조화된 한국 패션은 글로벌 패션계의 선두에 서 있다.


인도네시아 스포츠웨어 시장의 규제 환경


인도네시아의 경쟁적인 스포츠웨어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기업들은 제품 등록 단계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 단계는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입하는 모든 제품이 국가의 규정, 안전 기준 및 라벨링 요건을 준수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수행돼야 한다. 외국 기업에 이 단계는 법적 문제와 시장 진입 거부를 피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스포츠웨어가 고위험 품목으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인도네시아 무역부 및 기타 규제 기관은 소비자 보호와 공정 거래 촉진을 목표로 한다. 규정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압수, 수입 지연 또는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무역 관세부가 대부분의 스포츠웨어 수입을 담당한다. 제품 등록 절차 중 서류 사항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1. 사업자등록번호 (NIB)

Business Registration Number


2. 제품 기술 사양

Technical Specifications


3. 조화관세표준 (HS) 코드 분류

HS Code Classification


4. 상표 정보

Trademark Information


5. 시험 결과 또는 인증서 (해당 시)

Test Results / Certificates (if applicable)


제품 등록 외에도 기업은 적절한 사업자 등록증을 보유해야 한다. 외국인 투자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PT PMA(외국인 소유 기업) 등록이 필요하다. 


<제품 등록 절차의 단계>

2107982753_1757477038.646.png

[자료: 인도네시아 무역부]


시사점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한국 스포츠웨어는 시장 가격대 중간에 있다. 저가형 시장에는 중국산 수입품이, 고급 시장에는 나이키, 아디다스, 룰루레몬 등 글로벌 브랜드가 있다. 한국 브랜드는 합리적 가격에 프리미엄급 제품을 선보일 기회를 가졌으며 기능성뿐 아니라 트렌디한 디자인도 제공할 수 있다. 한국 브랜드의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을 위한 권장 전략으로는 유통 및 브랜딩 편의성을 위해 현지 유통업체 또는 대형 피트니스 업체와의 파트너십 구축이 있다. 이미 유명한 K-팝과 K-드라마 같은 문화 수출물을 강력한 마케팅 도구로 활용하는 것이 전략으로 포함된다. 스포츠웨어 시장이 일시적인 유행이 아닌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이기 때문에 한국기업의 스포츠웨어 시장에 대한 기회는 지속적으로 장기화 될 것이다. 


자료: UN Comtrade, Statista, 인도네시아 무역부, KOTRA 수라바야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코트라 시장정보

Total 247건 1 페이지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9696 01-23
공지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6607 01-14
245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38 09-10
열람중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31 09-10
243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47 09-10
242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49 09-10
241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77 09-04
240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47 09-03
239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58 09-03
238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59 09-03
237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54 09-03
236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57 09-01
235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61 09-01
234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87 09-01
233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295 08-25
232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291 08-25
231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379 08-25
230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342 08-25
229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468 08-12
228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498 08-08

검색


경상북도 자카르타 사무소
Artha Graha Building 6th Floor Suite 8, SCBD Jl.Jend.Sudirman Kav.52-53 Jakarta Selatan 12190 INDONESIA
Tel : +62 21 5140 1591
e-mail : Gyeongbukjkt@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