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인도워터를 통해 본 인도네시아 수처리 산업동향 > 코트라 시장정보

본문 바로가기

2025 인도워터를 통해 본 인도네시아 수처리 산업동향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댓글 0건 조회 75회 작성일 25-09-04 09:51

본문

올해 19회째 맞이하는 인도네시아 수처리 전문 전시회 통합 한국관 계속 개최

주재국 에너지-물 산업의 국가적 안보 확보 강조 등 현지 수처리 산업 성장 잠재력 주목 필요


전시회 개요


2025년 8월 13일부터 15일까지 자카르타 JIEXPO 전시관에서 개최된 2025 인도워터(Indowater)는 인도네시아 최대 규모의 수처리 산업 전문 전시회다. 올해 19회째를 맞는 전시회로서 619개 부스를 설치하고 약 1만6600여 명의 참관객이 방문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최대 규모의 물 및 폐수 기술 전시회 외 폐기물&재활용(Indo Waste & Recycling), 신재생에너지(Indo Renergy & Electric) 등 부대 전시관 및 포럼도 함께 진행됐다.


<전시회 개요>

3036456085_1756953540.1801.png

[자료: 전시회 홈페이지]


인도네시아 물산업 시장동향


물 산업은 국민 생활·보건·산업 경쟁력의 근간이자 도시화, 기후대응 등 사회 경제 전반의 기반 산업이다. 주재국 내 물산업 부문은 여러 통계자료를 통해서도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인 반면, 현지 수처리 시장 규모는 그리 크지 않다.

* 2019년 세계자연기금(WWF)은 인도네시아 550개 강 중에서 82%가 오염된 상태라고 보고됐으며, 2022년 유니세프는 가정용 식수로 공급되는 수자원 중 70%가 식수로 적합하지 않다고 평가


인도네시아 통계청(BPS)에 따르면 ‘24년 말 주재국의 상수도, 하수도 폐기물 관리 및 복원활동(Water Supply, Sewerage, Waste Management and Remediation Industry)이 전체 국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07% 수준(14조3000억 루피아, 약 8억6000만 달러)이다. 세계은행(WB)에 따르면 개발도상국의 연간 물 부문 지출은 GDP 대비 평균 약 0.5% 수준으로 평가되지만, 인도네시아의 경우 이보다 다소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연도별 인도네시아 상수도, 하수도 폐기물관리 및 복원활동 부문 GDP 규모>

(단위: 인도네시아 루피아 조)

3036456085_1756953584.5908.png

* IDR 16,353 = USD 1 (2025.08.27.)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 KOTRA 자카르타무역관 가공]


인도네시아 국가장기개발계획(RPJPN)에 따르면 2045년 주재국 인구는 지속 증가해 3억2405만 명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한 주재국 식량안보 강화, 광물자원 등 다운스트림 산업 육성 및 고도화*, 관광산업 육성 등 주요 정책 추진을 위해 수자원 관리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강화되고 있다.

* 인도네시아 ‘25년 상반기 인도네시아 에너지 광물 자원 투자액은 5년 내 최고치인 139억 달러 기록, 전년비(112억 달러) 24.1% 증가


<2025 인도워터(2025 Indowater) 전경>

3036456085_1756953625.1158.jpg

[자료: KOTRA 자카르타무역관 촬영]


<2025 인도워터(2025 Indowater) 전경>

3036456085_1756953650.067.jpg

[자료: KOTRA 자카르타무역관 촬영]


<2025 인도워터(2025 Indowater) 한국관 전경>

3036456085_1756953667.8286.jpg

[자료: KOTRA 자카르타무역관 촬영]


한국관 현장 스케치


한국관은 현지 수처리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양국 간 수처리 산업 협력 확대 위해 인도워터 전시회에 국가관을 구성했다. 이번 인도워터에서는 특히 한국 기업들의 참여가 두드러졌다. 한국환경보전원, 한국물기술인증원, 경상북도경제진흥원 3개 기관이 협력해 총 25개사가 참여하는 ’통합한국관‘을 구성했다. 전시 공간의 일원화와 국가 이미지를 강화하는 동시에, 각 기관이 단독으로 참여할 때보다 높은 시너지 효과를 도출하기 위함이다.


바이어 A사는 KOTRA 자카르타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공공사업부, 신수도청, 국영기업 등과 상하수도 부문을 긴밀히 협력하고 있고, 한국에서 이미 검증된 다수의 협력사들이 참가하는 만큼 꼼꼼히 살펴보기 위해 국가관을 방문하게 됐다고 언급했다.

* 해당 바이어는 우리 국가관에 참가한 D 사와 디스트리뷰팅 계약을 현재 심도 있게 논의 중이다.


이 외 Jasa Titrta 1,2, PAM Jaya, Moya Asia 등 국영·민간 수자원 관리 및 수처리 사업자 및 Freeport Indonesia, PT Antam Tbk, Napindo 등 광산 국영기업들도 한국관에 다수 방문했다.


현지 수처리 산업 관련 주요 기자재 활용 동향


1. 액추에이터(Actuator): 현지 시장에서는 영국 Rotork, 독일 AUMA, 중국 Delixi 제품이 주로 공급되고 있음.

* 특히 공공사업부(Ministry of Public Works) 프로젝트의 경우 AUMA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공공사업부 관계자 전언), 댐 수문의 전동화 수요가 면담 바이어(디스트리뷰터)들을 통해 꾸준히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동 액추에이터 수요가 확대되는 추세로 보여짐


2.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 중국 조달 제품이 대다수며 있으며, 현지 기업의 제작 역량은 부재하다는 의견이 상존


3. 펌프(Pump): 중국산 OEM 방식 수입이 다수를 차지하며, 현지 생산보다는 외국산 조립·라벨링 형태가 일반적임


4. 스카다(SCADA) 시스템: 슈나이더(Schneider)와 Delta Electronics(VTScada) 솔루션이 주로 사용되고 있음. 공정 자동화 및 원격 제어를 위한 SCADA의 적용 범위는 확대되는 추세


5. 스마트 센서(Smart Sensor): 말레이시아·중국산 센서가 다수 사용되고 있으나, 고장 빈도가 높다는 문제점을 자주 언급함. 한국산 제품 관심도가 높았으며, 일부 현장에서는 센서만 구매 후 반제품 조립 방식으로 공급하는 사례도 확인


6. 수질 계측기(Water Quality Analyzer): Endress+Hauser(스위스), Hanna Instruments(미국), Ashcroft(미국), 프랑스·이탈리아 브랜드, 대만 Aquas, 중국 브랜드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었으며, 현장에서는 정확도·신뢰성을 확보한 해외 브랜드에 대한 선호가 강한 상황


시사점


인프라지역개발조정부 장관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2045년까지 관로를 통한 100% 식수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현재 접근율은 약 22% 수준이라고 밝힌바 있다. 수도 자카르타의 지하수 사용 전면 금지는 ’30년부터 시행될 예정으로 상업용·산업용 수자원 확보를 위한 대체 수원 및 수처리 인프라 수요 급증이 예상된다.


또한 작년 출범한 신정부는 장기 발전 목표 ’골든 인도네시아 2045‘를 제시하고 2025년 2월 국가 중기발전 5개년 개발계획을 발표했다. 재무장관은 국가 중기 발전 5개년 개발 목표 달성을 위한 인프라 개발비는 1만302조 루피아(약 6253억달러)가 요구되나, 정부(중앙APBN+지방APBD) 예산 충당 가능 비율은 40%(중앙은 약 23%, 지방는 약 17%) 수준이라고 추산했다. 나머지 60%에 해당하는 6093조 루피아(약 3698억 달러)는 민간과 국영기업 각 30%를 통해 충당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민간 부문에 폭넓은 참여 기회가 열려 있으며 한국 기업을 포함한 해외 기업들의 적극적인 진출 모색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 물 산업 부문 인프라 개발 사업은 주재국 25개의 댐 재건, 1인당 물 저장 용량 확대, 관개 복구, 안전한 식수 접근 및 가정 폐수처리 등이 포함


유럽·미국 브랜드가 선호돼 왔던 이유는 정확성·신뢰성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한국 수처리 기술은 이미 글로벌 선진국 수준에 근접해 있으며, 특히 스마트 센서, 수질 계측기, 자동제어 시스템 분야에서는 국내외 프로젝트를 통해 성능이 검증된 레퍼런스들이 축적되고 있는 만큼, 인도네시아에서 충분히 경쟁력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 국가장기개발계획(RPJPN), 인도네시아 통계청, 세계은행, 세계자연기금, 유니셰프, 자카르타포스트, 템포, 안타라뉴스, 콤파스 등 언론보도 종합, KOTRA 자카르타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코트라 시장정보

Total 247건 1 페이지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9637 01-23
공지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6566 01-14
열람중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76 09-04
244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61 09-03
243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75 09-03
242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84 09-03
241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75 09-03
240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03 09-01
239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07 09-01
238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120 09-01
237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231 08-25
236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241 08-25
235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302 08-25
234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286 08-25
233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427 08-12
232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446 08-08
231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499 07-28
230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521 07-28
229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661 07-17
228 경상북도자카르타사무소 808 07-10

검색


경상북도 자카르타 사무소
Artha Graha Building 6th Floor Suite 8, SCBD Jl.Jend.Sudirman Kav.52-53 Jakarta Selatan 12190 INDONESIA
Tel : +62 21 5140 1591
e-mail : Gyeongbukjkt@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