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나라일까
수도를 옮긴다고 하던데
지도
□ 일반현황
| 
   국가명 
  | 
  
   인도네시아 공화국 (Republic of Indonesia)  | 
 
| 
   면적 
  | 
  
   190만 ㎢ (세계 15위, 한반도의 9배), 약 18,000개 섬  | 
 
| 
   기후 
  | 
  
   열대성 온순기후(건기 4월 ~ 10월 / 우기 11월 ~ 3월)  | 
 
| 
   수도 
  | 
  
   자카르타(약 1,046만명 / 면적 662㎢-서울 면적 605㎢)  | 
 
| 
   인구 
  | 
  
   약 2억 7천만명(세계 4위)  | 
 
| 
   민족 
  | 
  
   자바족 (42.65%), 순다족 (15.41%), 말레이족 (3.45%), 마두라족 (3.37%), 바탁족 (3.02%), 기타 300여 종족  | 
 
| 
   언어 
  | 
  
   인도네시아어(Bahasa Indonesia), 자바어 등 지방어 600여종  | 
 
| 
   종교 
  | 
  
   이슬람(88%, 세계 최대의 무슬림 인구), 기독교, 카톨릭, 힌두교, 불교, 유교 순 / 타 종교에 대한 관용성  | 
 
| 
   국가표어 
  | 
  
   다양성 속의 통일(Bhinneka Tunggal Ika)  | 
 
□ 정치현황
| 
   정부형태 
  | 
  
   대통령 중심제(임기 5년, 재선 가능)  | 
 
| 
   대통령 
  | 
  
   조코 위도도(Joko Widodo,
  애칭은 Jokowi)  | 
 
| 
   입법부 
  | 
  
   양원제 - 국회(DPR) 575명 : 입법권 / 지역대표회의(DPD) 136명 : 상원  | 
 
| 
   독립일 
  | 
  
   1945년 8월 17일 ※ 제2차 세계대전 전 네덜란드령(領) 동(東)인도였으며, 1945. 8.17 독립선언  | 
 
| 
   주요정당 
  | 
  
   투쟁민주당(PDI-P), 골카르당(Golkar), 그린드라당(Gerindra), 민주당(Demokrat), 국민수권당(PAN), 국민계몽당(PKB), 복지정의당 (PKS), 통일개발당(PPP), 나스뎀당(Nasdem), 하누라당(Hanura) 등  | 
 
| 
   한국과 관계 
  | 
  
   1973년 9월 17일 수교(북한과는 1964년 수교)  | 
 
□ 정치정세
  ◾수하르토 정권하의 32년간 독재 체제에서 자유 민주주의 체제로 전환
  ◾ 강력한 대통령 중심제였으나 수하르토 대통령 퇴진(1998년)이후 대통령의 권한이 축소되고 하원(DPR)의 권한 강화
  ◾ 2004. 7. 5 대통령․부통령을 국민 직접 투표로 선출
    - 국민평의회(MPR)가 국가 주권기관으로서의 의미 상실
  ◾ 1999년 및 2004년 총선을 통해 이슬람 정당과 민족주의 정당으로 양분되는 양상이었으나 2014년 총선 부진으로 이슬람 정당 세력 약화
  ◾ 유도요노 대통령 집권기(2004~2014) : 괄목할 만한 민주화 성취
  ◾ 현 조코위 대통령 집권(2014~2024) : 친서민적, 실용적, 포용적 정책
□ 인도네시아 국기
  ◾ 명 칭 : 적백기(Sang Saka Merah Putih)
  ◾ 채 택 : 1945. 8.17 독립기념일에 채택
    - 13세기부터 힌두교의 여신 비슈누(Visnu) 상징으로 사용
    - 초대 대통령 수카르노가 국민당의 표상 및 네델란드 독립전쟁때 사용 
    ![]()  | ▸ 적색 : 용기를 의미 ▸ 백색 : 순결을 의미  | 
□ 인도네시아 국장 : 가루다 빤짜실라(Garuda
Pancasila)
◾ 빤짜실라 : 5대 건국원칙(가루다속 방패부분), 건국헌법에 명시
| 
   
  | 
  
   ① 별 : 유일신에 대한 믿음  | 
 |
| 
   ② 물소머리 : 합의제와 대의제를 통한 민주주의 실현  | 
 ||
| 
   ③ 보리수 : 인도네시아의 통합  | 
 ||
| 
   ④ 벼이삭, 목화 : 국민 전체를 위한 사회정의 구현  | 
 ||
| 
   ⑤ 원형 쇠사슬 : 공정하고 고상한 인류애  | 
 ||
| 
   ▸ Garuda(가루다) 
     -
  날개(17개
  깃털), 꼬리(8개 깃털), 꼬리앞(19개
  깃털),  - 두다리로 잡고 있는 글은 ‘다양성 속의 통일’이라는 국가표어임 
  | 
□ 군사제도
| 
   총병력 
  | 
  
   597,000명  | 
 
| 
   국방예산 
  | 
  
   80.4억불(2018)  | 
 
| 
   병역제도 
  | 
  
   모병제  | 
 
| 
   한국과 관계 
  | 
  
   KF-X 공동 개발(KAI) : 전체 개발비 8조5000억원 중 20%인 1조7000억원 인도네시아 부담  | 
 
  ◾ 자바섬 인구집중으로 인한 지역 균형 개발
    - 국토 면적의 7%에 불과하나, 인구는 1억4천만명으로 50%가 거주
    - 수도 자카르타를 둘러싼 생활권인 Jabodetabek에는 3,170만명 거주
    ※ 자보데타벡 : 자카르타+보고르+데폭+땅그랑+버카시
  ◾ 도시침하와 환경오염
    - 무분별한 지하수 개발과 고층건물 난립으로 매년 평균 7.5cm 침하
    - 자카르타 해발고도가 평균 8m로 도시 전체의 40%가 해수면 이하
    - 폐수 중 4%만 처리, 악명높은 교통체증 등 각종 환경오염 증가
◾ 지진 및 쓰나미로부터 안전한 지역으로 수도 이전 필요성
| 구분 | 기간 | 면적 | 주요내용 | 
|---|---|---|---|
| 1단계 | 2021~2024 | 2천ha | 중앙정부 핵심단지 대통령궁 및 입법․행정․사법부 이전, 중앙공원 등 중심부  | 
| 2단계 | 2025~2029 | 4만ha | 중앙정부 행정단지 공무원 주거지역, 군대 및 경찰본부 이전, 대사관지역, 교육 및 의료시설, 대학교, 테크노파크, 쇼핑몰, 박물관, 스포츠 경기장 등  | 
| 3단계 | 2030~2045 | 20만ha | 광역도시 구축단계 국립공원, 오랑우탄 보존지대, 비정부기관 종사자 정착 클러스터  | 


▲ 인도네시아 수도 이전 타임라인
  ◾ 건설비용 : 337억불(41조원)
    - 정부부담 19%, 나머지는 민간투자로 진행
    - 소프트 뱅크 300억불, UAE, 싱가포르 국부펀드 등 투자의향
    - 중국이 주도하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도 사업 참여 의사
  ◾ ‘수도 이전 및 개발에 대한 기술 협력 양해각서(MOU)’체결(‘19.11)
    - 한ᆞ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기간에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과 인니 공공 사업주택부간 협약 체결
    - 세종시 건설경험 소개 및 공유, 국내 민·관 네트워크를 구성
  ◾ 행복청 전문협력관 2명 인니 공공사업주택부 파견(‘20. 2)
  ◾ 수도이전에 따른 부문별 타당성 및 기본구상 수립 제공(‘20년 중)
    - 스마트 교통, 폐기물 처리, 물 관리 등
    - 국내 첨단기술을 소개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
  ◾ 천문학적 이전비용 마련 : 40조원 이상
  ◾ 자카르타에 정치․경제적 기반을 둔 기득권층 반발
  ◾ 역대 대통령들도 모두 실패했다는 경험칙
  ◾ 수도이전에 대한 법적근거 마련 및 코로나19로 투자 지연
    - 수도이전을 법적으로 뒷받침할 관련 법안 통과 못하고 있음
    - 조코위 대통령의 낮은 정치적 배경

▲ 신수도 이전 대상지를 둘러보는 조코위 대통령

▲ 신수도 디자인전 최우수작 : Nugara Rimba Nusa/섬과 숲의 나라


	  
	        		        	
	        		
				경상북도 자카르타 사무소
			        Artha Graha Building 6th Floor Suite 8, SCBD Jl.Jend.Sudirman Kav.52-53 Jakarta Selatan 12190 INDONESIA
		
				Tel :  +62 21 5140 1591
				e-mail : Gyeongbukjkt@gmail.com